국민복지 / / 2023. 2. 9. 21:47

2023 자산형성 지원사업 총정리

반응형

자산형성 지원 사업이란?

자산형성지원사업이란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사업으로 재정적인 지원과 복지서비스의 결합을 통해 근로빈곤층의 자립· 자활의 꿈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정부에서 국민들에게 일정 금액을 지원함으로써 목돈 마련을 돕는 정책으로 요즘과 같은 고물가로 텅텅 빈 저희 통장에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기존에는 희망키움통장 1,2 유형, 내일키움 통장, 청년희망 키움통장, 청년저축계좌 이렇게 5가지가 있었지만 작년부터 3개로 통합되었습니다. 희망저축계좌 1 유형, 희망저축계좌 2 유형, 청년내일저축계좌 이 3가지로 통합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부의 자산형성 지원사업을 통해 지원되는 저축 통장들을 비롯해서 투자율이 아주 높은 여러 가지 정책성 적금 상품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일부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적금들도 있으므로 잘 알아보시고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자산형성지원사업
자산형성지원사업

모집기간
희망저축계좌 1,2 유형 :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2023년 2월 초 모집시작
청년내일 저축계좌 :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음. 보통 5월부터 신청시작
청년도약계좌 : 2023년 6월 출시예정

희망저축계좌 1유형

본인이 매월 10만 원에서 50만 원을 저축하면 매월 근로소득장려금 30만 원이 적립되고, 여기에 추가적으로 생계의료수급가구에서 벗어난 경우 최대 72만 원이 탈수급장려금으로 지원됩니다, 또 가입자가 자활근로사업단에 전월 12일 이상 성실히 참여하면 내일키움장려금으로 20만 원이 적립되고, 내일키움수익금으로 월 15만 원 이내 적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기 시에는 납입한 금액의 7배~8배까지 이자율이 늘어납니다.

신청대상은 소득인정액이 기준소득 40% 이하인 가구 중 가구원 중 일하는 사람이 있어야 하며, 신청당시 가구 전체의 총 근로 사업소득이 기준중위소득 40%의 60% 이상인 가구여야 합니다.

자산형성지원사업
자산형성지원사업
자산형성지원사업자산형성지원사업자산형성지원사업
자산형성지원사업

희망저축계좌 2 유형

희망저축계좌 1 유형으로 만기금을 받았더라도 자격만 된다면 희망저축계좌 2 유형으로 한번 더 가입할 수 있습니다. 2 유형 지원 대상은 소득 인정액 기준 중에서도 50% 이하인 주거 교육급여 수급 가구와 차상위 계층 가구로 현재 근로활동 하고 있거나 사업소득이 있는 가구입니다. 매월 10만 원에서 5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 지원금으로 근로소득 장려금 10만 원이 지원되고 추가로 자활근로사업에 참여하면 내일키움장려금으로 20만원, 내일키움수익금으로 월 15만원 이내에서 적립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만일 청년층이라면 기존 중위소득이 100%까지 가입할 수 있는 청년내일저축계좌가 있습니다.

- 중위소득 50% 이하의 기초 차상위 계층 청년은 10만원 저축 시 3년간 월 30만 원의 근로소득장려금에 이자가 더해지고

- 중위소득 50% 초과 100% 이하는 10만 원 저축 시 3년간 월 10만 원의 근로소득장려금에 이자가 더해집니다.

가입 이후 소득이 늘어나서 중위소득 50% 이하에서 50%를 초과하더라도 가입시점 기준으로 지원금 적립이 유지되기 때문에 현재 소득이 적을 때 가입하면 3배나 유리하게 됩니다. 가입당시 생계급여 수급가구 청년이 월 10만 원 초과 소득이 있다면 근로소득 공제금으로 매월 10만 원을 더 적립해 주고 만기나 해지 시에 탈수급할 경우에는 72만 원의 탈수급장려금까지 지원됩니다. 

자산형성지원사업자산형성지원사업자산형성지원사업
자산형성지원사업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 계좌는 만 19세~34세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돕기 위한 현 정부의 공약 중 하나입니다. 이 내용이 최근 구체적으로 나왔는데요. 연소득 7500만 원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기준 중위소득 180%에 해당하고 군 복무 기간을 최장 6개월간 인정해 주기 때문에 만 40세까지 가입연령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5년 만기로 매달 40만 원에서 70만 원을 5년 의무가입으로 저축하면 은행이자와 함께 정부에서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서 최대 6%의 지원금을 입금해 주고,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에 세금을 부과하지 않아서 월 70만 원 납입 시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 3가지 방식으로 은행에서 2023년 6월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지난 정부의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월 최대 50만 원 2년 만기 적금상품으로 9~10%의 금리효과가 생기는 제도로 작년에만 약 260만 명이 가입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조건만 되면 거의 대부분의 청년들이 가입했다고 할 수 있는데 지금은 판매가 종료된 사업입니다. 이번에 출시될 예정인 청년도약계좌도 많은 청년들이 가입해서 자산형성에 큰 도움을 받기를 바라봅니다.

자산형성지원사업
자산형성지원사업

이 외에도 각지자체별로 자산형성사업이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관심 있는 분들은 주민센터나 자산형성포털, 복지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